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은 결코 어려운 자격은 아닙니다.
자격증이란게 누구나 마찬가지겠지만, 시작하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저는 프로젝트 업무와 약간의 귀찮음으로 인해 인사평가가 끝나기 직전 부랴부랴 응시했습니다.
이번달 포스팅에 이 자격증 취득 관련 이야기를 가져온 이유는 조금만 시간을 투자해도 이력에 클라우드 관련 한 줄 추가할 수 있고, 쉬운 내용이지만, 알아두면 결국 쓸모 있고 클라우드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AWS 서비스 전반을 이해할 수 있어 생각보다 도움이 되는 것 같아 많은 분들께 추천드리고자 들고 왔습니다.
시험 개요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는 AWS CCP와 같이도 불리나, 공식적인 약칭은 AWS CLF-C02가 맞는 것 같습니다.
이전에 CLF-C01이 있었고 시험이 최신 내용을 반영하여 개정되면서 CLF-C02가 되었습니다.
조만간 한번 더 개정되어 CLF-C03으로 개정될 예정이 있습니다.
AWS는 잠깐만 지나도 새로운 서비스들이 출시되기 때문에 개정되기 전에 취득하는 편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
범주:기초
시험 시간: 90분 (영어 외 언어 선택 시. 30분 추가로 120분, 한국어로 응시해도 영어 원문 함께 제공됩니다.)
시험 형식: 65개 문항, 4지선다
응시 비용: 100 USD (146,120 KRW)
시험 방식:오프라인 테스트 센터,온라인(화상)감독 시험 선택
AWS Certified 구성
AWS Certified는 총4단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1.Foundational–6개월 이상의AWS클라우드 및 업계 지식을 요구
2.Associate - 1년의 문제해결 및AWS클라우드 솔루션 구현 경험을 요구
3.Professional - 2년의 설계,운영,문제해결 및AWS클라우드 솔루션 포괄적 경험 요구
4.Specialty– 전문 분야 도메인에 대한 기술적AWS클라우드 경험 요구
이번에 취득한 자격증은Foundational단계의Cloud Practirioner자격증으로AWS자격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자격증입니다.
자격증 유효기간은 3년이며 3년이 되기 전에 갱신해야합니다.
취득 과정
합격 과정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기능들과 각 기능 사이의 관계,연계 방안 등에 대한 지식을 요구합니다.
AWS무료체험 기간 동안 실습한 경험과 자격 서적,덤프 문제 등을 통해 학습하여11월 취득하였습니다.
AWS Free Tier
최초 학습 시AWS Free Tier(무료 체험)기간 동안EC2(가상 컴퓨팅), VPC(가상 네트워크), RDS(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AWS관리 콘솔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EC2와 VPC는 이전에 사용해본 적이 있고, 단순하여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인프런 강의
이후, 회사 지원으로 결제한‘인프런’유료 강의를 통해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하였습니다.
인프런 유료 강의가 비전공자에겐 쉬울 수 있느나 전공자 입장에서는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설명이 많아 학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판단을 하여 학습 방법을 바꾸기로 생각하였습니다. (전공자, 실무자는 인강 굳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자격증 서적
『(클라우드AWS자격증으로 시작하기』 서적 구매를 요청하여,책을 속독으로 다회독한 후,책에 있는 연습문제를 풀고 채점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책은 상위 단계인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를 포함하여 2가지 자격이 함께 포함된 책으로 해당되는 부분만 읽었습니다.)
연습문제를 풀고 채점 후 오답 문제를 다시 숙지하였습니다.
처음엔 어디부터 공부해야할지 감이 안오기 때문에 책으로 시작해서 감이 잡히면 다른 학습 방법들 병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덤프 문제
이후 더 많은 연습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무료 온라인 덤프 사이트를 통해 약600개의 덤프 문제 중100문제를 풀고 오답을 확인하였습니다.이 과정에서 예상보다 오답이 많이 나와 온라인 검색을 통해 합격자가 요약 정리해둔 게시글을 참고하여 다시 공부하였습니다.
이후 추가로300문제를 추가로 풀고 오답을 확인하였습니다.
어느정도 합격 가능성이 보일 때쯤 온라인을 통해 시험을 접수하고,시험 전 마지막으로AWS의 공식 덤프20문제를 풀고 합격점이 나와 본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요약 암기
어느정도 개념이 그려지기 시작할 때 즈음 인터넷에 이미 해당 자격을 취득한 사람들이 정리해둔 내용들을 출력하여 다회독 했습니다.
이름과 용도가 비슷비슷한 서비스들이 많아 해당 부분 유의하며 최대한 머리속에 그려 넣었습니다.
시험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응시가 가능하며,온라인 시험은 엄격한 감독(감독관의 실시간 화상,음성 감독,감독관과 영어로 소통,시험 환경 제약)으로 인해 오프라인으로 응시를 희망하였으나,원하는 응시 시간에 오프라인 시험장 예약이 꽉 찬 문제로 부득이하게 온라인으로 시험을 응시하였습니다.
오프라인 시험 시 서울 소재 시험장에서 응시가 가능하며,정해진 시험장에서 한국어 감독관의 관리를 받기 때문의 별도의 사전 준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온라인으로 응시할 경우 다음 과정을 사전에 숙지하고 준비해야합니다.
1.감독관과 영어로만 소통 가능
시험을 접수하고 예약된 시간에 시험에 응시하기 전 감독관은 화상 및 음성으로 피드백을 요구합니다.불시에 카메라로 응시 환경을 전체적으로 비추어 보이도록 요구하기도 합니다.
2.시험 응시 환경 준비
AWS는 전원이 연결된 유선 인터넷 환경의Laptop을 통해 시험에 응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웹 캠과 마이크가 필요하며,웹 캠은 응시자의 상반신을 비춰야 합니다.웹 캠과 마이크는 시험 종료 시 까지 켜져 있어야합니다.
시험 응시를 위한 온라인 시험 프로그램을 설치 해야합니다.
onVUE라는 전용 응시 프로그램을 사용하며,컴퓨터 환경을 엄격히 제한합니다
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과정이 꽤나 번거롭습니다.
허가 외 모든Process는 종료 해야하며,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Process도onVUE프로그램이 종료를 요구할 경우 강제로 종료 해야합니다.엉뚱하게 시스템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요구하기도 하여 상당히 곤란하였습니다.
시험 응시 시 응시 환경의 손 닿는 범위 내에 응시 컴퓨터 외 모든 물건을 치워야 하며,전자기기 사용이 금지됩니다.또한 주변 말이 닿는 범위 내에 다른 사람이 없어야 합니다.
후기
만약 다시 시험을 보게 된다면,오프라인 테스트 센터에 방문해 응시하고 싶습니다.
온라인 시험을 위한 준비 과정이 너무 엄격하고 불편하여,시간 여유를 갖고 오프라인 테스트 센터에 예약하여 응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의 난이도는 전공자 기준2주~3주 독학으로 취득 가능한 수준이며,비전공자의 경우1개월 이상의 학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개인적인 탐구 욕심으로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실제 자격 취득 만을 위해 학습을 한다면 위 기간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